[공학저널 김하늬 기자] 최근 각광받고 있는 ‘디파이(DeFi)’ 서비스는 각 나라별로 가상자산 규정이 마련되면서 그 시장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현재 디파이 서비스 점유율은 해외 기반 플랫폼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2019년부터 관련 서비스들이 등장했다. 최근에는 금융기관을 비롯해 빅테크 기업에서도 디파이 사업으로 확장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디파이 중 가장 활발히 이용되는 서비스 분야는 대출로 전체의 50%에 육박하며, 이밖에도 탈중앙화 거래소, 자산관리, 파생상품 등 디파이 영역은 다양화되는 추세다.
디파이는 탈중앙화된 금융시스템으로, 정부나 기업 등 중앙기관의 통제나 간섭 없이 블록체인 기술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중앙 금융기관을 배제한다는 것은 화폐 위조를 관리·감독해 주는 중앙 책임 기관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금융과 비교했을 때 디파이는 특정 중계자 없이 전 세계 모든 사람이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가 가능한 것이 차이점이며, 여기서 발생되는 데이터는 수천 대의 컴퓨터에 동시에 보관된다.
데이터의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 인터넷 투표 기능을 통해 다수결에 의해 데이터를 맞추도록 돼 있다. 수천 대의 컴퓨터에 기록된 조작 불가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이용자들이 서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신뢰성을 높였다.
해당 거래 기록이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중앙 주체의 허가가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참여자는 언제든지 거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하나의 주체가 특정 거래 기록을 무효로 할 수 없으며 누구나 오픈소스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비즈니스를 개발할 수도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블록체인 기술은 일부의 자산 이전과 교환 등에서만 사용됐다. 하지만 이제 디파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은 금융의 다양한 측면을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공공 금융기관을 비롯해 대출, 거래, 자산 관리 등 실제 금융이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디파이를 통해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기존 금융 생태계에서처럼 정보를 독점한 소수가 권력을 갖는 형태가 아닌 결제, 송금, 예금, 대출, 투자 등 모든 금융 거래를 직접 할 수 있는 참여자 중심의 디파이를 통해 금융 분야 직접민주주의까지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반면 개방형 블록체인의 기술적 한계와 보안문제, 규제의 불확실성 등은 디파이 서비스 안착의 걸림돌로 꼽히고 있다.
거래량이 많아질수록 처리 속도가 느려지고, 블록체인이라는 탈중앙화 시스템에 따라 보안·운영에 대한 책임 소재가 아직까지 불분명하다는 문제 등이다.
전문가들은 현재 암호화폐를 비롯한 가상자산의 현실을 보면 진정한 탈중앙화가 이뤄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탈중앙화를 강조하는 가상자산이 최근 민간 거래소가 아닌 국가나 기업으로 편입되는 추세고, 이를 통해 오히려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다.
단국대학교 자율형블록체인연구소 박용범 교수(사진)는 “금융 중개기관 없이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디파이의 장밋빛 전망에는 그 이면에 놓여있는 제도상 문제를 발견하고 우리가 가진 제도에 맞는 현실적 해결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현 시점에서 대응 가능한 규제와 감독 강화 등 구체적인 제도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기술에서 탈중앙화는 서로의 감시를 위해 이해관계의 충돌이 있는 여러 사람 또는 집단에 의한 별도 노드 관리가 전제돼야 한다.
하지만 현재 시점에서는 하나의 독립 기관 또는 독립 집단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장악하고 있는 경우가 발생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생각이다.
박 교수는 “블록체인은 다양한 기술이 접목된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의 도입으로 발생하는 현실적 문제의 다양성을 해결하기 위해 모두가 협조할 때 진정한 기술발전을 이룰 것”이라며 “어느 정도의 시행착오를 통해 디파이의 한계를 극복한다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금융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