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저널 김하늬 기자] 최근 EMS는 기업의 ESG 경영을 구현하고 관리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여겨지고 있다. 기업이 지속 가능한 환경 경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탄소중립과 같은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EMS의 역할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EMS 기술은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의 생산, 공급, 소비를 위한 모든 과정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관리자나 그 대상에게 각종 정보 또는 통제수단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활동과 기술을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EMS를 건물에 적용시킨 BEMS는 새로운 제품 개발이 아닌 기 개발된 에너지 관련 제품과 IoT, 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안정적·효율적으로 건물에너지를 관리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
전 세계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다소비 분야에 대해 적극적으로 에너지 소비 절감· 효율화 기술들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정책·제도 개선을 통해 에너지 효율화 기술들을 사회 저변에 보급·확산 하고자 노력 중이다.
우리나라도 국가 에너지 소비량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 건물분야에 대해 다양한 에너지 효율화 기술들을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2017년 공공건물 BEMS 의무구축 제도를 시작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ZEB: Zero Energy Building) 인증 의무화를 민간영역까지 확대함으로써 공격적으로 민간영역과 공공역역의 에너지 효율화를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BEMS를 비롯해 건물자동화시스템(BAS), 지능형건물시스템(IBS) 등 건물 에너지관리, 자동화 및 솔루션과 시공·구축, 유지보수 등이 관련 시장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스마트시티에너지관리시스템, 주택에너지관리시스템 등 xEMS 보급·활성화에 정책적 지원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EMS 보급 확대와 BEMS을 통한 건물분야 에너지효율관리 강화정책에도 불구하고, BEMS 구축 조달공고 진행을 위한 조달품목의 부재와 한국표준산업분류 미분류 등 아직까지 산업에서 BEMS가 제대로 정의되지 않아 업계는 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EMS협회 박병훈 사무총장(사진)은 “신축 공공건물의 경우 BEMS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BEMS 구축 조달 공고를 진행하고 있지만, BEMS의 조달품목(품명)이 부재해 기존 ‘빌딩자동제어시스템’으로 조달공고 입찰이 진행되고 있다”며 “이 때문에 BEMS 전문기업이 입찰에 참여할 수 없고 자동제어 기업이 입찰을 수주해 BEMS의 일부만을 적용하게 되어 실질적인 BEMS 효과를 얻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협회는 회원사와 함께 조달청에 BEMS에 대한 조달품목(품명)을 신규 요청했으나 반영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며 “BEMS 전문기업의 자격조건을 갖춘 기업이 BEMS를 설치해 에너지효율과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조달청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2040년까지 상업·공공 건물부문의 에너지효율 향상, 공급자 에너지 효율향상 의무화제도 시행 등을 통해 BAU 대비 각각 22.6%, 18.6%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박 사무총장은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에너지관리시스템의 경제성 확보, 에너지절감 효과 검증, 소비자의 수요관리 제도 참여 확대를 이루는 기술개발과 전략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박 사무총장은 “제로에너지건축물 확산 로드맵에 따라 BEMS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ZEB인증을 받기 위한 방편으로 전자식계량기 설치 부분은 에너지절감 및 효율화 측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부처와 유관기관, EMS협회는 각각의 특성에 맞게, 유기적인 협력과 협조가 필요하다. 정부와 유관기관은 정책 수반을 위해 해당 산업을 대표하는 협회와 적극 소통하며 산업을 발전시키고 시장을 확대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그는 이어 “미국, 유럽, 일본 등 국가는 우수한 기술과 자본을 앞세워 한국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한국의 EMS 시장이 글로벌 기업에게 독점 되지 않도록 국내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R&D 지원, 해외진출 지원, 전문인력 양성 지원 정책 등을 다각적인 방향으로 방안을 모색해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